펫아시아뉴스(Pet Asia News) 최근 네이버 대표 반려동물 커뮤니티 ‘강사모 공식카페’(강아지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를 통해 공개된 최경선 박사의 영상 콘텐츠가 반려동물 보호자 사이에서 강한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영상의 제목은 “입양인 줄 알았는데… 계약이었어요! 강아지가 말하지 못한 이야기”. 하지만 그 속에 담긴 메시지는 단순한 감정 호소가 아닌, 현행 법률의 맹점과 변종 펫샵의 실체를 고발하는 강도 높은 비판이었다. “입양이라더니, 서류엔 가격표가 찍혀 있었어요” 영상은 강남의 비 오는 거리에서 떨고 있던 한 강아지의 실제 사례로 시작된다. 작은 품에 안긴 채 숨소리조차 미안해 보이던 그 아이. 영상은 감성적인 내레이션과 함께, 보호자에게 건넨 건 ‘입양 신청서’가 아니라 ‘계약서’였다는 충격적인 사실을 밝힌다. “그건 입양이 아니었어요. 사랑이 아니라 가격이었고, 그 아이는 상품이었어요.” – 영상 내레이션 중, ‘입양’이라는 말로 감춰진 새로운 판매 구조가 있다. 최경선 박사는 이번 영상에서 이른바 **‘변종 펫샵’**이라 불리는 구조를 집중 조명한다. 이는 겉으로는 보호소, 입양센터, 위탁기관의 형태를 띠고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판매와
펫아시아뉴스(Pet Asia News) 최근 유기견을 입양하고자 검색을 하던 보호자들이 변종 펫샵의 덫에 빠지고 있다. 강사모 공식카페 회원들의 제보에 따르면, 포털 사이트에서 ‘유기견 입양’을 검색하면 상단에 노출되는 다수의 사이트들이 실제로는 유기견 보호소가 아닌 상업용 펫샵으로 드러나고 있다. 이들은 ‘○○보호소’, ‘○○입양센터’ 등의 명칭을 사용하며 보호소인 것처럼 위장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강아지를 판매하고 있으며 ‘분양가 문의 환영’, ‘택배 가능’ 등 상업적인 문구로 소비자를 유인하고 있다. 정작 유기동물을 구조하고 입양을 진행하는 지방자치단체 보호소, 동물보호단체, 시민단체 등의 웹사이트는 검색 결과 하단에 밀려 제대로 노출되지 않고 있다. 클릭 수가 곧 생명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는 현실에서, 진짜 보호소는 관심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강사모 공식카페는 “검색창 하나가 생명의 운명을 바꾸고 있다”며 “포털의 CPC 광고 구조 속에서 진짜 구조와 가짜 상술이 뒤바뀌고 있는 심각한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유기견 입양’이라는 공익적 키워드조차 광고비에 따라 변질되고 있다. 소비자들은 보호소라는 이름만 믿고 실제로는 상업